시사
2025 청소년증 신청방법 총정리|신청서류, 발급절차, 교통카드 혜택까지
thecivicvoice
2025. 7. 13. 07:00
📌 2025 청소년증 신청방법 총정리|신청서류, 발급절차, 교통카드 혜택까지
청소년증은 만 9세 이상 18세 이하 청소년들이 사용할 수 있는 공식 신분증입니다.
주민등록증이 없는 청소년에게 신분 증명, 교통카드 기능,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유용한 제도죠.
2025년 여름, 여성가족부는 청소년증 신규 발급 인증 이벤트도 진행 중이라 지금이 바로 발급 타이밍!
이 글에서는 청소년증의 정의, 신청방법, 준비서류, 발급절차, 사용처, 교통카드 적용지역까지 완벽하게 정리해드립니다.
✅ 청소년증이란?
청소년증은 「청소년복지지원법」에 따라 발급되는 정부 공식 신분증으로,
만 9세 이상 18세 이하의 청소년이라면 누구나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
주요 기능:
- 공적 신분증으로 사용 가능 (시험, 은행, 병원 등)
- 교통카드 기능 탑재 가능 (레일플러스, 원패스, 캐시비 등)
- 문화·체육시설 할인 혜택 제공
- 청소년 인증 수단으로 각종 온라인/오프라인 할인에 활용
📝 청소년증 신청 대상 및 장소
구분내용
신청 대상 | 만 9세 이상 ~ 만 18세 이하 청소년 |
신청 장소 | 주민등록 주소지의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 또는 구청 등 관공서 |
발급 비용 | 무료 (단, 등기우편 수령 시 우편료는 본인 부담) |
발급 기간 | 약 10~14일 소요 (제작 및 배송 포함) |
📄 청소년증 신청 서류
① 기본 제출서류 (본인 신청 시)
- 청소년증 발급 신청서 (행정복지센터 비치 또는 다운로드)
- 여권용 증명사진 1매 (6개월 이내 촬영, 3.5x4.5cm 권장)
② 대리 신청 시 (법정대리인 또는 보호자)
- 대리인 신분증 사본
- 가족관계증명서 또는 기본증명서 (위임 관계 증명)
- 청소년 사진 1매
📌 참고: 발급확인서를 요청할 경우 사진 2매 필요
🔁 청소년증 발급 절차
- 가까운 주민센터에 방문 또는 일부 지자체 온라인 예약 후 접수
- 신청서 작성 + 서류 제출
- 교통카드 탑재 옵션 선택 (레일플러스 / 원패스 / 캐시비 중 선택)
- 약 2주 후 수령 (직접 방문 또는 등기우편 수령)
🚍 교통카드 기능|지역별 적용 가능 여부
청소년증에는 교통카드 기능을 탑재할 수 있으며, 카드 종류에 따라 사용 가능한 지역이 다릅니다.
카드 종류사용 가능 지역 요약사용 불가 지역(예시)
레일플러스 | 수도권·서울·KTX·공항철도 등 전국 대부분 사용 가능 | 경북 군위·봉화·영덕 등 |
원패스 | 광역지하철, 대구·부산·광주 등 가능 | 김해 경전철, 통영·창녕 등 일부 버스 |
캐시비 | 수도권 지하철, 편의점, 영화관 등 생활 가맹점 활용 폭 넓음 | 경남 거창·남해 등 일부 지역 |
🎯 지역별 교통카드 적용 여부는 지자체 또는 카드사 홈페이지에서도 확인 가능
💸 청소년증 할인 혜택 예시
- 지하철·시내버스 요금 할인 (최대 50%)
- 국립공원, 궁·릉, 자연휴양림 입장료 할인
- 박물관, 미술관, 도서관, 유원지 할인
- CGV·롯데시네마 등 영화관 할인
- 패스트푸드·서점 등 일부 제휴처 할인
🎁 [2025년 여름 특별 이벤트]
- 여성가족부 x 청소년 1388 포털
- 7월 15일 ~ 8월 29일까지 발급 후 인증사진 업로드
- 추첨 통해 100명에 1만 원 편의점 상품권 지급
👉 자세한 이벤트 안내는 청소년 1388 포털에서 확인하세요.
🔚 마무리
청소년증은 단순한 신분증을 넘어, 교통비 절약, 문화생활 할인, 편의시설 접근 등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유용한 제도입니다.
특히 2025년 여름에는 발급 이벤트도 있으니 방학기간에 미리 신청해두는 걸 추천드려요!